로고

지구온난화시대의 여름 건강법

김수범 칼럼니스트(topgolf2269@naver.com) | 기사입력 2022/08/03 [10:12]

지구온난화시대의 여름 건강법

김수범 칼럼니스트 | 입력 : 2022/08/03 [10:12]

 

폭염이 심해지면 더위를 피하여 해수욕장, 산, 들로 휴가를 떠난다.

편안한 마음으로 따가운 햇볕 아래서 오래 휴가를 즐기다 보면 일사병에 걸리기 쉽다.

일사병에 걸리면 기운이 없고 양기가 부족한 사람들은 의식이 없어지고, 두통, 현훈증, 얼굴이 창백해지고 갑자기 쓰러진다.

또 열이 많은 사람들은 머리에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고 땀이 나고 얼굴이 붉어지는 증세가 많이 나타나고 화가 나고 남들과 쉽게 다투기도 한다. 각 체질마다 일사병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폭염이 각 체질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전 세계가 폭염, 가뭄, 산불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유럽에서는 고온과 건조한 날씨로 산불이 나고, 미국에서는 인체 온도를 넘는 폭염으로 비상사태가 선포되기도 하였다. 이상고온으로 인하여 지구가 뜨겁게 달구어지고 있다. 인간이 화석연료의 과다사용과 환경오염이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지고 있다.
가을, 겨울이 점점 줄어들고 봄, 여름이 점점 늘어나며 폭염은 점점 심해진다. 남, 북극의 빙하가 녹아내림으로 인하여 해수면이 높아지고 해일, 태풍 등이 심해지고 해안가의 도시는 점점 잠겨 들어간다. 위험의 경고는 계속되지만 화석연료, 환경오염, 전기의 과다사용 등과의 관련성은 실감하지 못한다. 매년 심해지는 폭염은 인체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폭염에 가장 힘든 체질은 급하고 직선적이고 많이 먹어도 살이 잘 안 찌고 열이 많은 소양인이다. 평소에 열이 많은 체질인데 외부의 기온까지 올라가니 더욱 열을 받는다.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가 아프고 어지럽고 사소한 것에도 열을 많이 받는다. 머리에 열이 너무 많으면 뇌 순환도 안 되고 무기력해지며 피곤하고 의욕이 없어진다.

 

또 가슴, 겨드랑이, 얼굴, 머리에 땀이 많이 나게 된다. 탈모, 코피, 안구충혈 등의 증세도 나타난다. 가슴과 얼굴, 머릿속에 뾰루지, 염증, 홍반 등이 많이 생기게 된다. 땀이 나면 그나마 열이 빠져나가서 다행이지만 땀이 안 나며 열이 나는 경우는 각종 염증 증세, 두통, 현훈증, 홍반 등의 증세가 심해진다.

한의학적인 치료법은 전신에 열을 내려주어야 한다. 특히 머리의 열, 가슴의 열, 위와 장의 열을 내려야 한다. 가슴과 머리의 열 내리는 한약재와 위와 장의 열을 내리고 변비를 풀어주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열을 내려주어야 한다. 소양인의 열을 내리는데 좋은 음식은 굴, 게, 새우, 조개, 해삼, 전복, 멍게, 복어, 잉어, 오징어, 문어 등과 같은 어패류, 해물류 등으로 몸 안의 열을 내려준다.

 

또 좋은 것은 여름 과일, 열대과일이다. 수박, 참외, 포도, 딸기, 메론, 바나나, 파인애플, 키위 등은 시원한 성질로 몸 안의 열을 내려준다. 보양 식으로는 임자수탕이 좋다. 국수에 참깨 국물과 오리고기를 넣어 시원하게 먹는 삼복의 보양식으로 열을 내리고 음기를 보해 준다.

다음은 저돌적이고 영웅심이 많은 태양인이다. 소양인보다는 덜 하지만 화가 많은 체질이다. 화가 많은데 외부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화도 더 올라가게 된다. 화가 올라가고 극도의 분노가 발생하면 구토증세, 속이 미식거리는 증세, 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세 등이 나타나면서 힘들다. 또 조급해지고 저돌적인 행동을 하고, 분노가 많아지고 사소한 일에도 화가 많이 난다.

한의학적인 치료법은 위로 오르는 화를 아래로 내려주어야 한다. 화를 내려 주는 시원한 한약재를 이용하여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태양인에 좋은 음식은 소양인 음식과 같은 굴, 게, 새우, 조개, 해삼, 전복, 오징어, 문어의 어패류, 해물류가 좋다. 과일은 포도, 감, 앵두, 모과, 머루, 다래, 솔잎 등이 시원하니 화를 내려준다. 보양식으로는 붕어탕을 담백하게 먹으면 음기를 보해준다.

느긋하고 무엇이든 잘 먹고 뚱뚱하거나 근육질이 많은 태음인은 여름을 견딜만하다. 전신의 땀을 내주어 몸의 열을 발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땀이 나는 것이 귀찮고 불편하지만 태음 인은 자체적으로 땀을 내어 열을 빼주며 몸도 가벼워진다. 실외로 나가서 사우나를 하여 땀을 뺀다는 기분으로 땀을 쭉 내고 샤워를 하면 좋다. 만일 땀이 안 나면 열이 발산이 안 되어 머리가 아프고 욱하니 열이 많이 올라가며 얼굴이 붉어지고 홍반, 각종 염증, 현훈증 등이 더 심해진다. 열이 위장으로 가면 식욕이 증가하여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심혈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뇌출혈, 중풍, 급성심장병 등이 올 수 있다.

한의학적인 치료법은 몸의 열을 내리고 변비를 풀어주고 땀을 내주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열을 없애준다. 땀을 전신에 골고루 내주는 것이 중요하다. 태음인에 좋은 열을 내리는 음식은 미역, 김, 다시마 등과 같은 해조 류와 버섯류, 콩류, 야채류가 열을 내린다.

 

보양식으로는 주위에서 쉽게 먹을 수 있는 육개장으로 원래 전통적 삼복 음식이다. 도가니에 소고기를 넣고 끓여서 얼큰하게 먹는 것이다. 그리고 양기를 도와주는 장어도 보양식으로 좋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이 있다면 시원한 콩국수를 먹는 것도 열을 내리는 방법이다.

평소 꼼꼼하고 내성적이고 소화 기능이 약하고 몸이 찬소음인은 관리만 잘한다면 무더운 여름을 건강하게 보낼 수 있다. 몸이 차기 때문에 무더운 날씨에도 크게 더운 것을 못 느끼며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과로를 하거나 체력이 떨어지면서 땀이 나게 되면 탈진되어 버린다. 밥맛이 없고 기운이 없으며 나른하고 힘이 없어진다. 소음인은 땀이 나면 탈진이 되기 때문에 땀이 안 나게 생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의학적인 치료법은 양기를 보하여 땀을 막아주며 기운을 북돋아 주어야 한다. 소화 기능이 약하면 소화기를 보하는 한약을 이용해 흡수를 돕는다. 소음인에 좋은 보양식은 전통적으로 닭고기에 인삼을 넣어 먹는 삼계탕이다. 여기에 땀을 막아주는 황기를 넣은 황기 삼계탕을 먹으면 양기를 보하고 기운을 돋구면서 땀을 막아준다.

 

 

 
우리들한의원 김수범원장 지구온난화시대의 여름 건강법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INTERVIEW & COLUMN 많이 본 기사
광고
광고